등록면허세 신고 및 납부 인터넷으로 집에서 편하게 할수 있다.
재산권 등을 취득시에 이와 관련된 내역을 공부에 등기, 등록하기 위해 납부해야 하는 등록 면허세를 집에서 편하게 신고하고, 납부까지 할 수 있다.
시청, 구청 등에 방문하지 않고도 세액 신고에서 납부까지 논스탑으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해 볼 가치가 충분하다.
등록면허세 인터넷 납부 방법과 함께 관련 사이트의 스크린 샷을 첨부하였다.
차근차근 따라하면 시청, 구청 등에 방문할 필요 없이 집에서 편하게 등록 면허세를 납부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등록 면허세가 7,200원으로 정액인 경우에는 아래 포스팅에서 신고 및 납부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 면허세 정액분(7,200원) 신고 및 납부 방법 ▷
정액이 아닌 가액에 따라 별도로 계산해서 납부해야 하는 등록 면허세의 신고 및 납부 방법을 이 포스팅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등록면허세
등록면허세란?
재산권 기타 권리의 설정·변경 또는 소멸에 관한 사항을 공부에 등기 또는 등록하는 경우 등기·등록을 받는 자 또는 각종 법령에 규정된 면허를 받는자에게 부과하는 조세이다.
취득을 원인으로 이루어지는 등기 또는 등록은 취득세를 납부하기 때문에 제외한다.
예전에는 취득세, 등록세를 구분하였으나 현재는 취득세와 등록세를 합쳐서 취득세라고 한다.
즉, 취득세에 등록세가 포함되기 때문인 것이다.
과세대상
재산권이나 기타 권리의 취득, 이전, 변경 또는 소멸에 관한 사항을 공부에 등기 또는 등록(등재)하는 경우에 과세된다.
대표적인 예로, 가압류 설정, 저당권 설정 및 말소, 임차권 설정 및 말소 등 등기와 관련된 신청이 있다.
등록면허세 인터넷 납부방법
인터넷 등록면허세 납부방법은 관할 종류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관할 지역이 서울이라면 이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납부하고, 그 외 지역이라면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납부할 수 있다.
이택스 서울지역
이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신고납부-등록 면허세(등록분)을 클릭한다.
회원로그인 또는 비회원로그인을 진행한다.
1.납세의무자정보
납세의무자 본인의 인적사항을 입력한다.
2.과세내역
과세대상 물건구분과 등기종류 등 과세내역 사항을 입력한다.
아래는 부동산가압류를 예시로 입력한 과세내역이다.
3.산출세액
과세내역에 맞는 등록세 및 지방교육세를 확인한다.
4.신고인사항 확인 및 신고하기
신고인 사항을 재확인하고, [신고하기]를 클릭한다.
5.신고내역 확인 및 납부하기
신고한 내역을 확인하고 [납부하기]버튼을 클릭하여 등록 면허세를 납부한다.
※아래 예시는 신고한 내역이 없기 때문에 등록 내역이 보이지 않으나, 위에서 설명한 [신고하기]를 클릭하면 신고내역이 보이게 된다.
6.등록면허세 납부확인서 출력
이택스 홈페이지에서 ‘납부(영수증)확인’ 메뉴에서 회원, 비회원 종류에 따라 납부확인서를 출력하거나 PDF로 저장할 수 있다.
법원 전자소송에 첨부할 서류라면 PDF로 다운을 받아 놓도록 하자.
위택스 서울외 지역
위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신고-등록 면허세-등록분-등록분신고를 클릭한다.
회원로그인 또는 비회원로그인을 진행한다.
1.신고인
신고인 인적사항을 확인 후 주소를 입력한다.
2.신고유형
등록 면허세의 신고 종류를 선택한다.
아래는 부동산가압류를 예시로 등록유형을 선택해 보았다.
3.신고대상
물건정보와 관할지자체 및 과세표준 금액을 입력한다.
가압류의 경우 가압류 금액이 과세표준(등록가액)이다.
4.산출세액확인
산출세액을 자동으로 계산해서 보여준다.
세율대로 적용되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보도록 하자.
5.구비서류등록
위택스에서는 이택스와 다르게 과세표준(등록가액)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
그림파일 등으로 저장 후 첨부하도록 한다.
6.신고서제출 및 납부
[다음]을 클릭하여 신고서를 제출하고, 등록 면허세를 납부하도록 한다.
7.등록면허세 납부확인서 출력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납부-납부결과-납부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납부확인서를 출력하거나 PDF로 저장할 수 있으며, 법원 전자소송에 첨부할 서류라면 PDF로 다운을 받아 놓도록 하자.
◈ 따라서, 단순 정보 전달용이며 어떠한 보장도 하지 않습니다.
◈ 법률, 규칙 등의 개정내용을 즉시 반영하기 곤란할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라며, 구체적인 질의는 해당 기관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